타오름
조각보
타오름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조각보
    • DEVELOPER B 🌱
      • Programming
      • Java
      • Spring | SpringBoot
      • JPA
      • Database
      • DS | Algorithms
      • CS
      • Git | Github
      • IDE

블로그 메뉴

  • HOME
  • TAG
         
        

CALENDAR

        
«   2025/07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    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타오름

조각보

[JAVA] 프로그래머스 전화번호 목록 (Hash Lv.2)
DEVELOPER B 🌱/DS | Algorithms

[JAVA] 프로그래머스 전화번호 목록 (Hash Lv.2)

2021. 8. 16. 22:41

1 . 문제 설명

 

 

전화번호부에 적힌 전화번호 중, 한 번호가 다른 번호의 접두어인 경우가 있는지 확인하려 합니다.
전화번호가 다음과 같을 경우, 구조대 전화번호는 영석이의 전화번호의 접두사입니다.

 

 

  • 구조대 : 119
  • 박준영 : 97 674 223
  • 지영석 : 11 9552 4421

 

전화번호부에 적힌 전화번호를 담은 배열 phone_book 이 solution 함수의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어떤 번호가 다른 번호의 접두어인 경우가 있으면 false를 그렇지 않으면 true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
 

 

제한 사항

  • phone_book의 길이는 1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  • 각 전화번호의 길이는 1 이상 20 이하입니다.
  • 같은 전화번호가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.

 

 

입출력 예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phone_book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return

 

["119", "97674223", "1195524421"] false
["123","456","789"] true
["12","123","1235","567","88"] false

 

입출력 예 설명

- 입출력 예 #1
   앞에서 설명한 예와 같습니다.

- 입출력 예 #2
   한 번호가 다른 번호의 접두사인 경우가 없으므로, 답은 true입니다.

- 입출력 예 #3
   첫 번째 전화번호, “12”가 두 번째 전화번호 “123”의 접두사입니다. 따라서 답은 false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2 . 알고리즘 [풀이방법]

 

 

이 문제는 사실 가장 먼저 생각난 구현 방법은 2중 for문을 이용하여 전체 경우를 다 따져 푸는 방법이었다. 나중에 해당 방법으로도 포스팅할 기회가 생긴다면 해볼 생각이다. 아무튼 해시를 이용하며 문제를 풀어야 하므로 어떻게 해시를 이용할 것인지 고민해봐야한다. 해시를 쓰려고 결정했다면 키에는 무엇을 넣고, 값에는 무엇을 넣을지 고민해봤는데 이 문제는 도저히 값에 무엇을 넣어야 하는지 모르겠어서 고민이 많았다. (결국 값은 상관 없었음) 문제의 요지는 배열 내 어느 번호라도 같은 배열 내에서 접두어로 쓰이는지를 확인하라는 것이기 때문에, HashMap의 키값만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었다. 

 

 

풀이 방식에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, phone_book의 배열의 인자값을 HashMap의 키값에 넣어 채웠다.(key.length()는 이용할 일이 있을까 넣었지만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0이나 1이나 다양하게 넣어도 된다).  phone_book이 정렬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, 중요한 포인트는 String을 char단위로 쪼개서 HashMap내의 key 값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.  

 

 

첫번째 예시를 약간 변형하여 설명하자면, phone_book 배열이

 

phone_book 1195524421 97674223 119

 

이렇다고 가정한다면, 빠르게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작은 값을 찾아서 하나씩 비교하기보단 걍 첫번째 인자부터 쪼개가면서 해당하는 값이 배열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것이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.

 

 

1 1 9 5 5 2 4 4 2 1

첫번째 배열의 값을 char 단위로 쪼개면서 매번 해당하는 "1"을 인자로 가진 경우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이다. "1"은 배열내에 인자로 갖고있지 않으므로 다음으로 넘어간다. 

 

 

1 1 9 5 5 2 4 4 2 1

다음으로 "11"이 배열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. 마찬가지로 없기 때문에 다음으로 넘어간다.

 

 

1 1 9 5 5 2 4 4 2 1

다음으로 "119"가 배열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. "119" 는 배열에 존재하므로 false를 반환하고 for 문을 종료한다.

 

 

 

이런식으로  문제를 풀면된다. 해시를 이용한 것은 아마 해당 배열값을 HashMap의 키값으로 이용하므로 시간복잡도적인 면에서 좀 더 효율성이 있기 때문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..

 

 

 

 

3 . 전체 코드 [구현]

 

 

 

import java.util.*; 

class Solution {
    public boolean solution(String[] phone_book) {
       boolean answer = true;
       HashMap<String, Integer> map = new HashMap<>();
       
        for(String key: phone_book) {
        	map.put(key, key.length()); // key.length() -> 값 상관없음
        }
        
        for(int i=0; i<phone_book.length; i++) {
        	for(int j=0; j<phone_book[i].length(); j++) {
        		if(map.containsKey(phone_book[i].substring(0, j))){
        			return false;
        		}
        	}
        }
        
        return answer;
    }
}

 

 

 

 

 

4. 리뷰

 

 

 

 

- 값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.

- 어떻게 해야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지 고민해보기

- 왜 Hash를 이용했는지 좀 더 찾아보기(for문일때랑 효율성 비교해보기) 

 

 

 

 
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    'DEVELOPER B 🌱/DS | Algorith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자료구조] 추상 자료형(Abstract Data Type, ADT)이란? (feat. 스택 & 큐)
    • [JAVA] 프로그래머스 위장(Hash Lv.2)
    • [JAVA] 프로그래머스 완주하지 못한 선수 (Hash Lv.1)
    • [JAVA] 해시맵(HASH MAP)
    타오름
    타오름

    티스토리툴바